본문 바로가기
설계지식-도면,가공/2D도면

기하공차(9)-흔들림 공차 이해와 적용(1)

by Jormungand 2022. 7. 18.
반응형

이번에는

흔들림 공차

(원주 흔들림 공차)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흔들림 공차의 정의

2. 흔들림 공차의 적용(예시)

3. 온흔들림 공차(링크)

4. 흔들림 공차(2)(링크)


 

1. 흔들림 공차의 정의

흔들림 공차의 정의는 아래와 같습니다.

"흔들림 공차"

진원도 공차와 직각도 공차의 합한 복합 공차입니다.

원통의 외경과 내경표면을 규제하므로

공차값에  "파이"를 붙이지 않습니다.

흔들림공차의 복합공차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아래 그림을 보겠습니다.

 

회전체 초록색과 파란색이 접촉부 입니다.

기하공차는 타부품과의 조립간의 관계이므로

데이텀을 파랑색 회전체 중심으로 잡습니다.

흔들림 공차는 원주를 정의하므로

파란색 원주까지 선과 파란색 회전체 중심선을 그리면

직각도 공차 그림(직각도)이 됩니다.

동시에 원주까지 선을 그었으니(진원도)

이것이 "흔들림 공차" 입니다.

회전체의 원주가 더 커진다면 흔들림(진동)은 더 클 것 입니다.

그래서 흔들림공차의 크기원의 외경 혹은 내경에 따라 결정해주면 됩니다.

이 흔들림 공차를 도면에 적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 흔들림 공차의 적용(예시)

 

축에 베어링이 껴있는것을 생각하시기 바랍니다.

축에 기어와 베어링이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기하공차를 적용해주어야 합니다.

은 기어와 베어링 같이 회전하므로 원통형 회전체입니다.

따라서,

축의 원주를 정의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흔들림 공차를 적용합니다.

흔들림 공차의 크기는 외경크기로 결정하면 됩니다.

각각 17파이 20파이이므로

IT공차에 따르면

각각 흔들림 공차의 크기는 0.008mm, 0.009mm 입니다.


요약하면

흔들림공차원주의 크기를 결정하며 이 크기에 따라 공차크기가 결정됩니다.

또한,

흔들림공차를 사용할 때는 데이텀이 회전체 중심을 잡고

회전체가 회전하는 접촉면일 때 적용하면 됩니다.

 

흔들림 공차가 이해되었다면,다음은 온흔들림 공차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3. 온흔들림 공차(링크)

반응형

 

 

 

흔들림 공차에 대해 이해가 다 되었다면

다음은 이 블로그에서 마지막 기하공차,

온흔들림 공차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반드시 위의 링크를 참고하기바랍니다.

 

 

 

 

4. 흔들림 공차(2)(링크)

 

기하공차(9)-흔들림 공차 이해와 적용(2)

이번에 다시 흔들림 공차에 대해서 추가로 설명할 것이 있다. 앞서 흔들림공차 적용은 축에 대해 했다면 이번에는 기어와 풀리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일반기계기사 시험 공부 시 또는 아래

archive-engineer-latias21.tistory.com

흔들림 공차에 대해서 기어와 풀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조립도에는 없는데 왜 흔들림 공차를 적용하는지에 대한

흔들림 공차(2) 에 대한 설명이니,

위의 링크를 반드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앞으로도 엔지니어에게 좋은 지식과 정보를 이해하기 쉽게 글을 포스팅하겠습니다. (By. 요르문간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