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설계] 피로한도와 수정계수
이번에는 "피로한도(내구한도)"를 계산하는 식을 간단히 소개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피로한도(내구한도) 공식 소개 2. 피로한도 수정계수 소개 (6개) - 표면상태 수정계수, 크기계수, 하중계수, 온도계수, 신뢰성계수, 기타계수 3. 피로파손 그래프 소개 (링크) 1. 피로한도(내구한도) 공식 소개 피로한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시편의 내구한도와 각 온도,크기, 하중, 표면상태, 등 여러가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회전빔 시편의 피로한도는 실험해서 얻은 값입니다. 나머지수정 계수들을 살펴보겠습니다. 2. 피로한도 수정계수 소개 (6개) 2-1. 표면상태 수정계수(k_a) 이 수정계수는 말 그대로 재료의 표면상태를 나타낸 것입니다. 냉간가공, 열간가공, 단조 등..
2022. 5. 11.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새 글 쓰기 |
W
W
|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