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설계지식-재료&구조/재료역학(기본)44 평면면적과 도심(1)-기본과 이해 이번에는 "도심"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면적의 정의(적분) 2. 도심과 1차모멘트의 정의 3. 평면면적과 도심(2) - 도형의 합성과 분리 공식 (링크) 1. 면적의 정의(적분) 적분으로 표현할 때, 면적은 아래와 같이 정의합니다. 2. 도심과 1차모멘트의 정의 도심은 평면에서 쓰이는 개념인데 평면 도형에서 도형의 중심을 의미합니다. 각 좌표에 대한 도심에 대한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도심은 1차모멘트/면적 을 나타냅니다. 여기서 1차모멘트는 각 미소면적에 좌표를 전 면적에 대해 곱한 것인데 x에대한 1차모멘트는 y를 곱한것이고 y에 대한 1차모멘트는 x를 곱한것인데 예로들어 x에 대해 1차모멘트는 x축에 대한 1차모멘트로 이해하면 됩니다. x축에 대한 1차모.. 2022. 6. 27. [재료역학] 재료의 기계적 성질 이번에는 재료의 기계절성질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겠습니다. 재료역학에서 재료의 가장 기본적인 내용이니 반드시 알아두길 바랍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응력에 따른 변형률 2. 연성재료의 응력-변형률 그래프 3. 취성재료의 응력-변형률 그래프 4. 평면면적과 도심의 기본과 이해 (링크) 1. 응력에 따른 변형률 재료에 힘을 주면 응력에 비례하게 재료의 변형이 증가합니다. 이 구간을 "비례한도" 또는 "탄성한계"라고 부르며 이 구간의 기울기, 즉 응력/변형률을 "탄성계수"라고 합니다. 이 구간에서 힘을 주었다 되돌리면 재료는 변형이 0인 원래 모습으로 돌아오는 것이 가능합니다. 비례한도를 넘으면 재료는 소성변형(영구변형)이 시작됩니다. 이 때 소성변형되기 시작하는 점을 "항복점"이라고 부릅.. 2022. 6. 20. [재료역학기본개념-3-2-2] 처짐공식 외울 필요 없다 2편 이번에는 집중하중에 관한 처짐공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처짐에 대한 개념과 이해 (링크) 2. 분포하중 작용하는 처짐 문제 소개 3. 분포하중 작용하는 처짐 문제 풀이 소개 4. 집중하중 관련 처짐문제 (링크) 5. 재료의 기계적 성질 (링크) 1. 처짐에 대한 개념과 이해(링크) 그 전에 처짐(deflection) 에 개념에 대해 이해가 안되어있다면, 아래에 처짐에 대한 개념의 링크를 남겼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분포하중 작용하는 처짐 문제 소개 다음 단순지지보 구조물에도 이런 처짐(크기) 공식이 있을 것입니다. 이것도 이전 포스팅한 글처럼 진행하면 됩니다. 다만, 앞문제와 달리, 하중분포가 전 구간 작용하여, 전구간에 대한 함수를 한번에 구할 수가 있.. 2022. 3. 29. [재료역학기본개념-3-2-1] 처짐공식 외울 필요 없다 1편 이번에는 처짐 개념을 문제에 적용할 것입니다. 기계 기사 시험 공부는 보통 공식을 외우고 문제에 적용하여 해결합니다. 이렇게 하면 외울게 엄청 많습니다.. 개인적으로 외우는건 최대한 줄여가지고 가는게 좋습니다. 암기력(기억력)을 100% 발휘하면 모르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솔직히 진짜 필요한거 아니면 정말 귀찮습니다. 특히 처짐에 대한 공식도 진짜 외울필요 있나 의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개념도 알았으니, 왜 외울 필요 없는지 공식을 까먹어도 굳이 당황해할 필요가 없는지 다음페이지 까지 포함하여 증명해보이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처짐에 대한 개념과 이해 (링크) 2. 집중하중 작용하는 처짐 문제 소개 3. 집중하중 작용하는 처짐 문제 풀이 4. 분포하중 작용하는 처짐 문제 (링크.. 2022. 3. 27. [재료역학기본개념-3-1] 처짐에 대한 개념 재료역학 시험(또는 기계기사 관련)을 치룰 때 반드시 나오는 것이 처짐 문제가 나옵니다. 확실히 외워서 가면 문제를 빨리 풀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편합니다. 하지만 재료역학의 기본인 전단력, 모멘트선도의 개념과 그래프(선도)를 그릴 줄만 안다면 시험볼때 설령 공식을 잊어먹더라도, 풀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길 바랍니다. 하지만,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기전에 처짐에 대한 개념(▽)부터 정리하고 가는 것이 좋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처짐의 개념 2. 처짐의 공식 3. 처짐의 미분과 적분의 관계 의미 4. 집중하중에 관한 처짐문제 (링크) 5. 분포하중에 관한 처짐문제 (링크) 1. 처짐의 개념 처짐은 일종의 변형입니다. 설계 시 고려해야 하는 이유는 간섭, 기능불량, 재료이상 등 .. 2022. 3. 25. 이전 1 ··· 5 6 7 8 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