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엔지니어_아카이브416

17,18세기의 전략게임 Cossacks 3(코삭3) 이번에는 전략게임을 하나 소개하는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코삭 3 (Cossacks 3) 2. 게임의 시스템 구성과 매력 3. 코삭 3에 대해 자세한 것 (링크) 1. 코삭 3 (Cossacks 3) 코삭이란 게임은 17세기, 18세기의 전쟁게임이며, 이 시대에는 머스킷 총과 대포가 있는 초기 화약을 기반으로 하는 시대입니다. 2. 게임의 시스템 구성과 매력 코삭 1이라는 생산과 전투의 기반을 가지며 유닛의 배열은 코삭 2라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습니다. 각 시리즈의 장점을 최대한 결합하였으며, 이전보다 그래픽의 업그레이드 된 것이 코삭 3입니다. 게임의 특징과 매력 1. 인구수가 정말 많다. 인구수가 몇천단위까지 가능한데, 유닛 하나하나 다 조종이 가능합니다. 2. .. 2023. 5. 28.
체스 실력 늘려주는 컴퓨터 체스 게임 오늘은 체스게임에 대해서 포스팅 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싱글 체스게임의 계기 2. CHESS_TITAN 3. 장점과 단점 1. 싱글 체스게임의 계기 온라인으로 체스게임을 두고 싶지만, 체스게임은 체스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할 것이고, 그만큼 사람들이 대전경험이 많고 실력도 좋아서 이기기가 정말 힘들 것입니다. 그래서 우선 싱글에서도 실력을 쌓고 싶어서 예전 윈도우7에서 있었던 게임을 떠올려보았습니다. 2. CHESS_TITAN 3. 장점과 단점 장점 1. 무르기가 있습니다. 무르기를 통해 내가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그에 따라서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 2. 체스 레벨이 1부터 10까지가 있습니다. 레벨이1부터 10까지 다양하게 있습니다. 실력을 늘리면서 흑,.. 2023. 5. 27.
처짐 중첩법의 원리(처짐 개념 중에서 제일 쉬움) 이번에는 재료역학에서 처짐공식의 중첩법에 대한 원리를 설명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처짐에서의 중첩법 2. 중첩법의 원리 3. 선형성에 대한 원리 (링크) 4. 처짐량에 대한 공식 5. [재료역학기본개념-3-1] 처짐에 대한 개념 (링크) 6. [재료역학기본개념-2-1] 하중,전단력,굽힘모멘트 개념과 선도 (링크) 1. 처짐에서의 중첩법 중첩법이란 말그대로 중첩시킨다는 의미입니다. 하중분포가 작용하는 A상황에서 가운데에서의 처짐량과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B상황에서 가운데에서의 처짐량이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만약, A와 B가 동시에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면 이 때 처짐량은 두가지 상황에서의 처짐량의 합이라는 의미입니다. A상황, B상황에서 처짐값을 더하면 되는 것입니다. 2. 중첩법.. 2023. 5. 26.
응력집중에 대한 개념 이번에는 "응력집중에 대한 개념" 을 간단히 포스팅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응력집중 2. 최대응력집중 3. 응력집중계수(K) 4. 설계에서의 응력집중 5. 처짐의 중첩법 (링크) 1. 응력집중 하중이 작용하는 부재의 단면이 급격하게 변화되거나, 균일하지 않은 하중이 부재에 작용하는 응력의 경우를 말합니다. 첫번째 사진의 경우, 하중이 부재의 중앙에 집중하여 작용하는경우에도 응력분포가 윗부분에는 응력집중이 가능하며, 두번째 사진의 경우는 부재에 인장력이 작용할 때, 중앙에 구멍에 의한 단면의 변화가 생길 경우 위 사진과 같이 응력분포가 나타납니다. 2. 최대응력집중 최대응력집중은 "응력집중계수(K) x 평균응력" 이며, 평균응력은 수직응력, 하중/면적 입니다. 3. 응력집중계수(.. 2023. 5. 25.
기하공차(3)-동심도(동축도) 공차 개념 이해(2) 이번에는 동심도(동축도) 공차에 대해서 이해를 돕기위해 글을 다시 포스팅 하겠습니다. 다른 예를 가지고 왔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동축도(동심도) 공차 문제 소개 2. 동축도(동심도) 공차 문제 풀이 3. 기하공차 직각도 공차(1)(링크) 4. 데이텀 설정방법 (링크) 1. 동축도(동심도) 공차 문제 소개 이번에는 베어링 커버를 가지고 왔습니다. 이 커버는 지난번에 수직도공차 포스팅 글의 본체에 조립됩니다. 원형 형태를 가지는 베어링 커버는 빨간색 영역에 조립됩니다. 데이텀을 설정하기에는 축심이 가장 좋기 때문에 C로 설정했습니다. 그런데 동심도(동축도) 공차를 왜 정의를 하였을까요? 조립되는 면이 저 본체의 왼쪽 면과 내부도 접촉(조립)이 되기 때문입니다.(아래그림 참고) (조립.. 2023. 5.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