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엔지니어_아카이브416

[유체역학 기본개념-1-3]-유체의 유동의 개념과 이해 유체의 가정, 유동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비점성유동, 점성유동, 뉴턴유체, 비뉴턴유체, 정상유동, 압축성유동, 비압축성유동, 내부유동, 외부유동, 레이놀즈 수, 층류, 난류)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비점성유동, 점성유동, 뉴턴유체, 비뉴턴유체 2. 정상유동, 비압축성 유동, 압축성 유동 3. 내부유동, 외부유동정 4. 층류유동, 난류유동 5. 레이놀즈수 6. 유체의 질량보존식, 연속방정식(링크) 1. 비점성유동, 점성유동, 뉴턴유체, 비뉴턴유체 먼저, 비점성유동, 점성유동을 설명하겠습니다. 비점성유동은 말그대로유체에 점성이 없는 유체의 유동을 의미하며 점성유동은 점성이 있는 유체의 유동을 의미합니다. 점성유동에서 뉴턴유체, 비뉴턴유체로 나뉘는데, 뉴턴유체란? 위 유체의 점성 공식이 .. 2022. 4. 12.
[유체역학 기본개념-1-2]-유체의 점성, 개념과 이해 이번에는 유체의 점성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는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점성에 대한 고찰 2. 점성이란? 3. 유체의 전단응력 공식 의미 4. 유체의 유동 개념 이해(링크) 1. 점성에 대한 고찰 유체에서 점성은 유체 내에서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를 나타냅니다. 유체가 흐를 때 자체적으로 무언가 운동을 방해하는 게 있다고 보면 됩니다. 그림으로 설명하겠습니다. (그림 1번) 어떤 유체가 있다고 가정하고 오른쪽으로 흐른다고 하겠습니다! (그림 2번) 바닥에 가까운 유체입자는 많이 이동못했고, 바닥에서 멀리 떨어질 수록 유체입자가 이동한 거리는 증가하였습다. 유체입자는 바닥에서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있으면 바닥과의 마찰이 작용하지 않고 바닥과 접촉하는 입자보다 속도가.. 2022. 4. 11.
[유체역학 기본개념-1-1]-유체기본개념, 유체, 유선방정식 이번에는 유체의 기본개념 그리고 유체역학 시험에서 가장 첫 기본문제인 유선의 방정식에 대한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유체역학이란? 2. 유체의 정의 3. 유선의 정의 4. 유체의 속도장 표현 5. 유선의 방정식 문제 소개 및 풀이 6. 유체역학- 유체의 점성(링크) 1. 유체역학이란? 유체역학에서 유체란 무엇일까요? 한자로 흐를류, 몸체를 써서 흐르는 물질이라는 뜻입니다. 보통 엑체와 기체를 합쳐 부르며, 변형이 쉽고 흐르는 성질을 가지며 형상이 정해지지 않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2. 유체의 정의 그렇다면 왜? 고체, 즉 재료역학에서 재료(고체)는 왜 유체라고 부르지 않을까요? 위 그림에서 고체에 힘을 주면 변형이 되는데, 딱 변형된 모습을 그대로 유지합니다. 그러나 .. 2022. 4. 10.
기하공차(4)-직각도 공차 개념 이해(1) 이번에는 직각도 공차의 개념을 설명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직각도 공차의 의미 2. 직각도 공차 문제 소개 3. 직각도 공차 문제 풀이 4. 직각도 공차(2) (링크) 5. 원통도 공차 개념 이해 (링크) 6. 기하공차 정의, 데이텀(기준) 설정 (링크) 1. 직각도 공차의 의미 직각도 공차 기호는 말그대로 수학기호에서 수직기호와 같습니다. 다른 부품과의 조립 등 관계의 해당되는 어떤 선 또는 면이 해당 데이텀과 기준으로 수직이라는 의미이며, 기준면(데이텀)(밑면)으로 부터 어떤 면(또는 선)이 수직에서 얼마나 벗어났냐에 대한 허용해주는 설정 공차를 의미합니다. 2. 직각도 공차 문제 소개 이해를 돕기 위해 지난번과 같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수직 공차이기 때문에 바.. 2022. 4. 9.
기하공차(3)-동심도(동축도) 공차 개념 이해(1) 이번에는 "동심도(동축도) 공차" 를 설명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동심도(동축도) 공차의 의미 2. 동심도(동축도) 공차 문제 소개 3. 동심도(동축도) 공차 문제 풀이 4. 기하공차 동심도(동축도) 공차(2) (링크) 5. 기하공차 직각도 공차(1) (링크) 1. 동심도(동축도) 공차의 의미 저 원이 두개 그려져 있는 것이 동심도(동축도) 공차의 기호입니다. 의미는 "원형의 중심의 축과 다른 원형의 중심의 축이 일치해야하는데 가공상 오차가 생기기 때문에, 그 축의 관계가 얼마나 벗어났는가의 허용오차를 설정해주는 기하공차" 입니다. 2. 동심도(동축도) 공차 문제 소개 위 그림(본체도면)을 보면 파란색 축심은 "본체 3D 모델링"그림의 빨간색 원 표시의 축심입니다. 기어, 축,.. 2022. 4.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