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설계지식-열&유체&엔진/열역학(기본)

등압과정(정압과정) 개념이해(각 상태량 이해)

by Jormungand 2023. 3. 8.
반응형

이번에는

"등압과정에 대한 개념과

암기 필요없이 공식 이해하는 것"을 포스팅 하겠습니다.

 

[이 과정에서는 단위질량에 대한 공식(양변을 질량으로 나눈 공식)을

사용하겠습니다.]

<또한 이 이론에서 사용하는 전제는 이상기체 입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등압과정

2. 요약

3. 기체가 압축될때

4. 등적과정(정적과정) 개념과 이해 (링크)


 

 

1. 등압과정

말그대로 압력이 일정한 과정입니다.(△P = 0 or dP = 0)

그런데 부피는 변하였네요. ▶ 일(w)이 존재합니다.

여기서 기체의 부피가 팽창하냐 축소하냐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기체의 부피가 팽창할 때

등압과정 일 계산 (w)

부피가 팽창한다는 것은 기체가 외부로 일(w)했다는 것입니다.▶ (△w > 0)

 

 

등압과정 온도 계산 (T)

또한 정압과정(등압과정)에서 부피가 증가한다면

이상기체 방정식에서 Pv =RT (P는 일정, R은 기체상수)

좌변이 증가하기에,우변은 당연히 증가합니다.

즉, 온도가 증가하네요!  ▶ (△T > 0)

 

등압과정 내부에너지 계산 (T)

그럼 열역학 1법칙에 의해서 q = u + w 인데 (dq = du + Pdv)

온도에 대한 함수인 내부에너지(u)는 증가하였으며▶  (△u > 0)

 

등압과정 열량 계산 (q)

일도 증가하였기에(w>0) 열량(q)은 증가한 것입니다. ▶ (△q > 0)

 

 

등압과정 엔탈피 계산 (h)

엔탈피는 h = u + Pv인데 

미분하면 dh = du + vdP + Pdv입니다.

그런데, 등압과정(정압)이라 압력의 변화가 없습니다. (dP = 0) 입니다.

따라서,  dh = du  + Pdv = dq 가 됩니다.

엔탈피 변화량은 열량의 변화량 값입니다.

△h = △q

그런데 q가 증가하였으므로, ▶ " △h > 0 "입니다.

 

 

등압과정 엔트로피 계산 (s)

등압과정이므로, 지난번에 포스팅한 엔트로피 식에서

 

정압비열을 사용한 엔트로피식, 2번식을 사용해야 합니다.

하지만, 압력변화가 없으므로, P1, P2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엔트로피 계산은

 

 

온도가 증가했으니, 당연히 엔트로피도 증가했네요, ▶ (△s > 0)

 

 

2. 요약

dP = 0, △w >0, △T > 0 △u > 0, △q > 0, △h > 0, △s > 0

 

 

3. 기체가 압축될때

위 설명의 반대로 적용하면,

△w < 0, △T < 0 △u < 0, △q < 0, △h < 0, △s < 0

 

엔트로피의 문제

엔트로피 감소는 팽창 또는 축소의 한 과정만 나타낸 것이며,

이상기체에서는 가역과정이므로

팽창, 축소하면 엔트로피 총 변화는 0이 됩니다.

 

다음에는 정적과정(등적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4. 등적과정(정적과정) 개념과 이해 (링크)

 

반응형

 

 

오늘과 같은 포스팅으로 진행하겠습니다.

이렇게 공부하면 이해도 정말 쉽고 공부도 편합니다.

링크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앞으로도 엔지니어에게 좋은 지식과 정보를 이해하기 쉽게 글을 포스팅하겠습니다. (By. 요르문간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