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설계지식-도면,가공32 기하공차(2)-평행도 공차 개념 이해(2) 이번에는 평행도 기하공차에 대해서 다른예를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지난번 원통도 공차 설명하던 도면을 가지고 오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평행도 공차 문제 소개 2. 평행도 공차 문제 풀이 3. 기하공차-동심도 공차 (링크) 1. 평행도 공차 문제 소개 아래도면은 축 도면입니다. 특히 편심 축 도면에서는 평행도 공차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데이텀D는 축의 중심을 나타냅니다. 2. 평행도 공차 문제 풀이 위 그림을 보면 파이26의 원통부분은 슬라이더와 접촉합니다. 따라서 기하공차를 정의해주어야 합니다. 원통도도 필요하지만 저 원통의 중심도 기하하적으로 정의해주어야 합니다. 기하공차 정의를 안하면 가공 시 허용공차범위에 어긋나면 부품이 제 기능을 안해 불량될 수 있습니다. * .. 2022. 4. 26. 기하공차(5)-원통도 공차 개념 이해 이번에는 "원통도 공차" 에 대한 설명을 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원통도 공차의 개념 2. 원통도 공차 문제 소개 3. 원통도 공차 문제 풀이 4. 기하공차- 경사도공차 (링크) 5. 기하공차 정의, 데이텀 설정 (링크) 1. 원통도 공차의 개념 원통도 공차는 원통형상에서 벗아난 크기를 규제하는 공차입니다. 데이텀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2. 원통도 공차 문제 소개 3번은 축이다. 원통도가 0.009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기하공차가 정의되었다는 것은 다른 단품,부품과의 조립,접촉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저 원통도가 정의된 부분은 4번 슬라이더의 구표면(SR 5)와 접촉이 됩니다. 그리고 접촉되는데 저 축의 접촉부분이 원통부분이라고 표현한 것 입니다. 3. 원통도 공차 문제 풀이 원.. 2022. 4. 25. 기하공차(4)-직각도 공차 개념 이해(2) 이번에는 직각도 공차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다른 예를 통해서 설명하려고 합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직각도 공차 문제 소개 2. 기하공차(1)-공차,기하공차정의, 데이텀(기준) 설정 (링크) 3. 직각도 공차 문제 풀이 4. 기하공차 - 원통도 공차 개념 이해 (링크) 5. 기하공차 - 직각도 공차 개념 (링크) 1. 직각도 공차 문제 소개 직각도 공차 3개 중에서 2개만 설명하겠습니다. 이 개념만 잘 알면 옆에거 직각도 공차가 왜 그런지 알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데이텀 A는 바닥에 있습니다. (데이텀 기준 잡는법은 다시 설명안하겠다. 모르면 아래 링크 참고하길 바랍니다.) 2. 기하공차(1)-공차,기하공차정의, 데이텀(기준) 설정(링크) 기하공차(1)-공차,기하공차정의, .. 2022. 4. 23. 기하공차(4)-직각도 공차 개념 이해(1) 이번에는 직각도 공차의 개념을 설명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직각도 공차의 의미 2. 직각도 공차 문제 소개 3. 직각도 공차 문제 풀이 4. 직각도 공차(2) (링크) 5. 원통도 공차 개념 이해 (링크) 6. 기하공차 정의, 데이텀(기준) 설정 (링크) 1. 직각도 공차의 의미 직각도 공차 기호는 말그대로 수학기호에서 수직기호와 같습니다. 다른 부품과의 조립 등 관계의 해당되는 어떤 선 또는 면이 해당 데이텀과 기준으로 수직이라는 의미이며, 기준면(데이텀)(밑면)으로 부터 어떤 면(또는 선)이 수직에서 얼마나 벗어났냐에 대한 허용해주는 설정 공차를 의미합니다. 2. 직각도 공차 문제 소개 이해를 돕기 위해 지난번과 같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수직 공차이기 때문에 바.. 2022. 4. 9. 기하공차(3)-동심도(동축도) 공차 개념 이해(1) 이번에는 "동심도(동축도) 공차" 를 설명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동심도(동축도) 공차의 의미 2. 동심도(동축도) 공차 문제 소개 3. 동심도(동축도) 공차 문제 풀이 4. 기하공차 동심도(동축도) 공차(2) (링크) 5. 기하공차 직각도 공차(1) (링크) 1. 동심도(동축도) 공차의 의미 저 원이 두개 그려져 있는 것이 동심도(동축도) 공차의 기호입니다. 의미는 "원형의 중심의 축과 다른 원형의 중심의 축이 일치해야하는데 가공상 오차가 생기기 때문에, 그 축의 관계가 얼마나 벗어났는가의 허용오차를 설정해주는 기하공차" 입니다. 2. 동심도(동축도) 공차 문제 소개 위 그림(본체도면)을 보면 파란색 축심은 "본체 3D 모델링"그림의 빨간색 원 표시의 축심입니다. 기어, 축,.. 2022. 4. 8. 이전 1 ··· 3 4 5 6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