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설계지식-재료&구조66 관성모멘트 기본도형 공식 이번에는 관성모멘트에 대한 기본도형 공식에 대한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관성모멘트 기본도형 공식 2. 관성모멘트의 개념과 이해 (링크) 3. 관성모멘트 합성과 분리 (링크) 1. 관성모멘트 기본도형 공식 기본도형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직사각형은 위의 공식을 기준으로 하시기 바랍니다. 아래 직사각형에 b=b/2, h=h/2를 대입하고 면적은 같으니 크기를 줄인 b=b/2, h=h/2의 사각형의 4배입니다. 질량이 클수록 관성이 커지는 원리로 관성모멘트는 면적이 클수록 회전에 대한 관성이 커지기 때문에 4배가 되서 위와 같은공식이 나옵니다. 특히 저 두개의 직사각형 공식으로 관성모멘트 공식을 유도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기본도형 공식이 어떻게 나왔는지 궁금하시다면 .. 2022. 9. 27. 관성모멘트의 개념과 이해 2차원, 3차원에서 모멘트 뿐만이 아니라 힘에 대해서 공식을 보면 관성모멘트가 자주 나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관성모멘트의 개념"에 대한 이해를 주제로 포스팅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관성모멘트의 정의 2. 관성모멘트 개념 이해 3. 관성모멘트 개념 적용 예 4. 관성모멘트 공식 5. 기어 압력각 의미 (링크) 1. 관성모멘트의 정의 관성모멘트(단면 2차 모멘트)의 정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물체가 계속해서 회전을 지속하려는 성질의 크기를 나타냅니다. 한마디로 "회전력에 대한 관성"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쉽게 와닿지 않을 것 같아 아래에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2. 관성모멘트 개념 이해 x축에 대한 관성모멘트를 예시로 설명하겠습니다. x축에 대한 관성모멘트는 회전축 x를.. 2022. 9. 26. 설계에서 베어링 사용의 의미 이번에는 "베어링"에 대해서 간단히 포스팅 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베어링의 구조 (링크) 2. 베어링에 대해 주의할 점 일반기계기사 등 기계 관련 과목을 공부하다 보면, 베어링에 대해서 나옵니다. 베어링의 정의는 책이나 인터넷에서 글로 잘 나오지만, 이해가 잘 안될 수 가 있는 문제점이 있어 포스팅 해 보려고 합니다. 베어링의 구조는 이전에 포스팅 하였습니다. 1. 베어링의 구조 (링크) 이전에 베어링 모델링 한 포스팅입니다. 위 링크를 참고하시면 베어링의 구조에 대해서 잘 알 수 있습니다. 어떠한 조립체가 있는데 그 조립체는 동력으로 인해 축이 회전해야 합니다. 회전하는 축을 받춰주는 뭔가가 필요하지 않습니까? (고정안하면 공중에 뜨는 건데,, 말이 안되죠.) (반대로 회전.. 2022. 9. 21. 프와송 비,프와송의 수 정확하게 이해하기! 이번에는 프와송의 비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프와송비란? 2. 관성모멘트에 대한 개념과 이해 (링크) 1. 프와송비란? 프와송비는 재료의 고유값이며, 한쪽이 인장/수축하면, 다른방향은 수축/인장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비율을 프와송의 비라고 합니다. 이렇게 한축에 대해서만 세로로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 프와송의 비는 -(가로변형률)/(축변형률) 을 의미합니다. 왜냐하면 한쪽이 압축/인장되면 다른쪽은 인장/압축 됩니다. 보통 인장은 +, 압축은 -이라서 반드시 음수(-)가 나오게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인장되면 인장 압축되면 압축 이런 금속재질은 없다고 봐야합니다. (만약 이런 재질을 발견한다면 논문을 써서 노벨상 받으러 갑시다!) 보통 책이나, 대부분에.. 2022. 7. 28. 안전계수와 그와 관련된 것들(피로,설계계수,안전여유 등) 이번에는 안전계수와 안전여유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안전계수와 안전여유 2. 재료에 대한 기본개념(기계적 성질) (링크) 3. 프와송 비,프와송의 수 정확하게 이해하기! (링크) 1. 안전계수와 안전여유 안전계수는 허용응력과 파괴응력의 비 입니다. 안전계수 n = 실제강도/필요강도 = 항복응력/허용응력 안전계수는 1보다 커야 안전하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허용응력은 물체를 하중 지지, 전달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안전여유는 "안전계수 - 1" 을 의미합니다. 1보다 큰게 안전계수인데 -1을 뺀다? 안전여유가 양수면 "안전하다" 라는 의미입니다. 안전계수가 항공기에서 쓰이는 것은 항공기 비행 하중 구조역학에서 비행 형태에 따라 달라지는 속도-안전계수 선도에 .. 2022. 7. 26. 이전 1 ··· 4 5 6 7 8 9 10 ··· 1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