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엔지니어_아카이브416

[동역학 기본개념] 구좌표계 공식 소개 이번에는 "동역학에서 구좌표계에 대한 공식"을 소개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구좌표계 공식 소개 2. 동역학 기본개념 : 상대속도, 상대가속도 개념 (링크) 1. 구좌표계 공식 소개 구좌표계는 거리와 X축과의 각도(초록색), Z축과의 각도(빨간색)으로 나타낸 좌표입니다. 거리좌표는 단순히 거리에 대한 벡터밖에 없으나, 속도와 가속도에 대해서는 복잡하게 나옵니다. 이에 대한 증명은 생략하겠습니다.(이건 좀 힘듭니다.;;) 다음에는 동역학에서 상대속도,가속도 개념을 설명하겠습니다. 2. 동역학 기본개념 : 상대속도, 상대가속도 개념 (링크) 물리 또는 동역학에서 상대라는 개념을 잘 알면 이에 대한 식세우는 것이 매우 쉽습니다. 자세한 것은 링크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앞으로도 엔지니어.. 2023. 7. 6.
[동역학 기본개념] 원통좌표계 공식 소개 이번에는 "동역학의 원통좌표계 에서의 거리, 속도, 가속도에 대한 공식"을 소개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을 읽기 전 1번과 2번의 링크 글을 먼저 읽고나서 원통좌표계 공식을 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왜냐하면 단순히 극좌표계에서 z축만 추가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동역학 극좌표 개념 (링크) 2. 동역학 극좌표, 속도, 가속도 공식 (링크) 3. 동역학 원통좌표계 개념 및 공식 소개 4. 동역학 구좌표계 공식 소개 (링크) 1. 동역학 극좌표 개념 (tistory.com) [동역학 기본개념] 극좌표 각도 단위벡터 미분의 개념 이번에는 저번에 이어서 극좌표의 단위벡터 미분 중 나머지 하나 각도단위벡터(e_θ)의 미분에 대해 포스팅 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 2023. 7. 5.
접선방향 단위벡터 미분 및 가속도 개념 저번의 동역학 기본개념 "접선, 법선 좌표계" 라는 주제에 이어서 이번에는 "접선 방향 단위벡터 미분과 가속도의 개념"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동역학 기본개념 : 극좌표 벡터 미분 개념 (아래 링크 2개) 2. 접선방향 단위벡터 미분 "d(e_t)/dt" 2-1. "ds/dt"의 풀이 2-2. "d(e_t)/ds"의 풀이 2-3. d(e_t)/dt 의 결론 3. 접선 법선 좌표계의 가속도 개념과 공식 4. 동역학에서의 원통좌표계 (링크) 1. 동역학 기본개념 : 극좌표 벡터 미분 개념 (아래 링크 2개) 우선 이 개념을 이해하려면, 이전의 동역학 극좌표 미분개념을 이해하셔야 합니다. 왜냐하면 이해하는 방식이 같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먼저 아래 링크 "극좌표 .. 2023. 7. 4.
유효숫자 지정된 오차 기준(Scarborough) 이번에는 유효숫자와 관련된 오차를 간단히 소개하는 것을 포스팅 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파라미터 설계 2. 스퍼기어의 파라미터 1. 수치해석의 오차 기준 상대적 오차의 절대값이 지정된 오차보다 작을 때 까지 수치해석의 계산을 반복합니다. 2. Scarborough의 유효숫자 오차율 최소 유효숫자 자리수 n일 때의 지정된 오차는 위와 같습니다. 유효숫자와 관련된 계산을 한다면, 이 오차율보다 작은 오차가 나올 때 까지 반복하여 계산해야합니다. 이에 대해 자세한 것은 나중에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2023. 7. 3.
[동역학 기본개념] 접선, 법선 좌표계의 개념 이번에는 "접선, 법선 좌표계의 개념"에 대해 포스팅 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접선 및 법선 좌표계 소개 2. 원운동에서 접선, 법선의 개념 3. 접선 및 법선 좌표계의 적용 4. 접선방향 단위벡터 미분 개념 (링크) 1. 접선 및 법선 좌표계 소개 운동 궤적에서 곡선에 접하는 운동방향(교점이 한개)이 접선방향 접선방향에 수직이며 곡선부분의 중심을 향하는 법선방향 이렇게 2가지, 접선과 법선방향으로 표현하는 좌표계가 접선 및 법선 좌표계입니다. 2. 원운동에서 접선, 법선의 개념 원운동은 방향이 바뀌는 대표적이 운동입니다. 운동방향은 항상 접선방향입니다. 왜냐하면 그 지점에서 법선방향의 힘을 제거하면 그냥 접선방향으로 쭈욱 운동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 접선방향의 운동을 바꾸.. 2023. 6.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