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엔지니어_아카이브416

(동역학 기본) 속도, 가속도의 미분활용 이번에는 "속도, 가속도 미분정의만 제대로 알면, 다른 변수에 의한 활용문제 푸는 법" 에 대해 간단히 포스팅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가속도, 속도의 미분정의 2. 다른 변수에 의한 활용문제 3. [동역학] 극좌표 단위벡터 의미 (링크) 1. 가속도, 속도의 미분정의 가속도는 시간에 대한 속도변화량 속도는 시간에 대해 위치(변위)변화량을 의미하며, 위와 같이 미분형태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2. 다른 변수에 의한 활용문제 만약 가속도(a)가 속도를 변수로 하는 함수일 경우 "a = a(v)" 가속도의 미분정의 "a = dv/dt" 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a = (dv/dt) * (dx/dx) a = (dv/dx) * (dx/dt) a = (dv/dx) * v 형태로 바꾸어.. 2023. 6. 22.
정역학의 의미와 조건(식 세우는 법) 역학에서 제일 먼저 배우는 것이 정역학 입니다. 역학중에서 정말 쉽습니다. 거의 고등 물리1 수준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오늘은 정역학의 의미와 기본적인 식 세우는 법을 소개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정역학의 의미 2. 정역학의 기본적인 조건 3. 정역학 식 세우는 법 4. 정역학에서 2D, 3D의 벡터 접근법 (링크) 1. 정역학의 의미 정역학은 건물, 구조물에 대해 많이 쓰입니다. 정역학은 정지의 의미로 정지한 물체 또는 구조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2. 정역학의 기본적인 조건 그래서 정지하여 있기 때문에 물체 또는 구조에 대해 힘과 회전의 합은 0이 되어야 합니다. 각 축에 대해서 힘과 회전이 0이 되어야 합니다. 공간(3D)상에서 식을 세운다면 식이 6개가 되어.. 2023. 6. 21.
[동역학 기본개념] 질점과 강체의 개념 동역학 책에서 보면 운동학을 질점과 강체로 분류하여 소개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질점과 강체에 대한 정의"를 주제로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질점의 개념과 정의 2. 강체의 정의 3. 동역학에서의 극좌표계 (링크) 1. 질점의 개념과 정의 질점은 그냥 질량이 있는 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근데 굳이 점으로 표현하는 이유가 무엇이냐면, 모든지 물체에는 중심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부피가 다양하고 복잡하기 때문에 한 점을 중심으로 간단하게 표현하고 싶기 때문에 이를 "질점"이라고 정의하는 것입니다. 2. 강체의 정의 어떤 이론을 정립할 때는 가장 이상적인 조건을 중심으로 합니다. 동역학에서 물체가 운동한다면 물체에서 내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물체의 변형이 존재합니다. 그러.. 2023. 6. 20.
스타워즈 레이싱 게임 공략2 (포드 추천) 이번에는 스타워즈 레이싱 게임 공략1에 이어서 공략 2편을 진행하겠습니다. 이번 공략 2편은 포드(차량) 추천에 관한 내용입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 포드추천 1. 파랑이 (EBE ENDOCOTT) 2. 트레이닝 코스의 챔피언 "MARS GUO" 3. 삐약이 "NAVIOR" 4. SEBULBA 5. 최고의 차량 QUARDINAROS 포드 추천 1. 파랑이 (EBE ENDOCOTT) 처음 게임 시작할 때는 이 차량을 추천합니다. 가속도, 스타팅, 등 모든 스펙이 가장 무난하며 밸런스가 있습니다. 다른차량은 밸런스가 별로입니다. (이 차량의 주인은 3-6의 챔피언입니다. 참고로 3-6 맵은 난이도 있는 맵입니다.) 2. 트레이닝 코스의 챔피언 "MARS GUO" 제가 자주 애용하는 차량입니.. 2023. 6. 19.
3차원 좌표계(공간좌표,원통좌표,구면좌표계) 이번에는 "3D 좌표계"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공간좌표계(X,Y,Z) 2. 원통좌표계 3. 구면좌표계 1. 공간좌표계(X,Y,Z) XY좌표계에서, Z축을 추가한 3차원 좌표계입니다. 평면이 아닌 공간좌표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좌표계입니다. 축 하나만 들어가도 계산이 복잡해집니다... 2. 원통좌표계 극좌표계에서 역시 Z축을 추가한 좌표계입니다. 극좌표 r이 원점으로 부터 거리를 나타내기 때문이고, r이 일정하면 원모양게 z축 높이를 추가하였으니, 원통모양처럼 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원통좌표계" 라고 합니다. 3. 구면좌표계 (원점으로 부터 거리, z축과의 각도, XY평면 투영하여 X축과 이루는 각도) 이렇게 표현하는 것이 구면좌표계입니다. 원점으로부터 거리r로.. 2023. 6.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