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엔지니어_아카이브416

비선형 거동의 개념 - 완전소성과 탄소성해석, 람베르그 오스굿 법칙 이번에는 "비선형 거동의 개념"에 대해서 포스팅 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1. 비선형 거동의 개념2. 비선형거동 개념 - 람베르그-오스굿 응력 변형률 법칙3. 평면응력 쉽게 이해하기 (링크)   1. 비선형 거동의 개념보통 재료는 이런 응력-변형률 그래프를 띠고 있습니다만,모든 재료가 이런 경향을 띠지 않습니다. 하지만, 아래의 이런 경향을 띠는 재료들도 있습니다.왼쪽 그래프처럼,항복응력 시 재료가 완전히 소성되는 재료가 있습니다.변형률이 항복변형률 보다 10~20배 이상 지속됩니다.이러한 재료를 "탄소성 재료(탄성-소성)"라고 합니다. 대표적인 탄소성 재료는 구조용 강, 강철이 있습니다. 이러한 상태로 가정하여 해석을 하는 것을 탄소성.. 2024. 3. 20.
충격하중에 대한 기본개념 이번에는 "충격하중"에 대해 주제를 다뤄보겠습니다.  그래서, 이번 페이지는 "충격하중에 대한 기본개념과 식의 도출"," 충격하중에 대한 최대변형량, 최대응력 공식""충격계수와, 공식에 대한 주의점" 등 충격하중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토대로포스팅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1. 정하중과 동하중의 개념2. "충격하중"을 에너지 관점 이해하기!!3.   충격하중, 최대변형량 공식4. 충격하중 : 최대응력 공식5. 충격계수(Impact Factor)6. 갑자기 가해진 하중7. 충격하중 공식의 주의점, 제한8. 비선형 거동의 개념 (1) - 완전소성과 탄소성에 대해서 (링크)   1. 정하중과 동하중의 개념 하중은 크게 정하중과 동하중으로.. 2024. 3. 18.
열효과, 열응력에 대한 개념 오랜만에 재료역학에 대한 개념을 고찰하겠습니다. 설계된 기계가 열을 받으면, 구속조건에 따라온도에 의한 응력이 발생합니다. 설계에서 온도효과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이로인하여, 구조물이 이상하게 변형되어 망가지게 됩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열효과에 의한 열응력"에 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1. 온도효과와 열응력 공식2. 열변형률, 열응력 부호3. 열응력 기본 식 세우기 (문제적용)4. 충격하중 이해하기 (1) - 에너지 변환 관점 (링크)      1. 온도효과와 열응력 공식 재료에서의 온도변화는 재료의 팽창 또는 수축을 일으켜재료의 변형과 재료 내부의 응력을 발생시킵니다.이 때 발생되는 변형과 응력을 "열변형률" 그리고 "열응력"이라고 부릅니다. .. 2024. 3. 18.
영어 스피킹을 위한 발음공부 책 소개 이번에는"영어 스피킹을 위해 도움이 되는영어 발음에 관한 책"을 하나 소개하려고 합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1. 책 소개 "미국 영어발음 무작정 따라하기"2. "미국 영어발음 무작정 따라하기" 교보문고 구매 (링크)   1. 책 소개 "미국 영어발음 무작정 따라하기" 가격은  14,400원 입니다. 이 책의 장점은 크게 2가지 입니다.  1. 책의 mp3 파일을 홈페이지 회원가입없이 무료제공하는 것입니다. 책을 구매하면, 책 앞쪽에 홈페이지그리고 mp3파일이 어디에 있는지 설명해주기 때문에,이것에 대해서는 책을 구매하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 블로그 글에서 mp3파일이 어디있는지쓰는것은, 맞지 않기 때문입니다.  2. 두번째는 독학을 위.. 2024. 3. 17.
인천시청 맛집 - 소래포구해남수산 인천시청, 교육청 그리고 주변 큰 빌딩과 회사 건물들이 있습니다. 인천시청에 대부분 식당은깔끔하고 맛있는 식당이 많습니다. 그리고 값도 어느정도 나가고, 보통보다 비교적 메뉴가 좋은 식당도 많습니다. 그리고, 회식을 위한,단체를 위한 방, 룸이 따로 있는 식당이많이 있습니다. 1인, 2인은 물론이고,최소 4~5인이 모여맛있게 먹을 수 있고 편한자리의식당을 소개하려 합니다. 그럴 때 보통 메뉴는 고기와 회인데, 저는 단체에서는 보통 회를 좋아합니다. 그래서,이번에는 회인천시청에 맛집 "소래포구해남수산"에 대해서소개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1. 위치2. 횟집, 소래포구 해남수산 소개3. 네이버 지도 : 소래포구해남수산 구월.. 2024. 3.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