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굽힘(벤딩 : bending)설계 시
노치의 중요성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노치의 중요성
벤딩을 사용한
하나의 부품 모델링을 가져오겠습니다.
(노치의 필요성만 설명하기 위해서,
카티아로 대충 만들었으니 이해바랍니다.)
이렇게 벤딩을 주의없이
제품을 설계하면 문제가 발생합니다.
저렇게 벤딩을 한다는 것은
영구변형(소성변형)시킨 소성가공 입니다.
여기서 문제가 발생하는데
저런 불연속부,
즉 모서리가 생기는 부분을
굽히면
응력집중이 저 노란선 부분에
과도하게 작용하여
미세균열이나 찢어짐이
생기기가 쉽습니다.
균열은 성장하므로,
결국
저 모델링은
노란선을 따라 완전히 절단 납니다!!
즉, 저 부품이 파괴된다는 의미입니다.
(실제로 잘못으로 저렇게 설계하면,
기업입장에서는 당연히 큰 손해이며,
방산업에서 저런일이 생기면,
설계를 한 엔지니어가 직접
반드시 조사받아 책임지게 되니 주의하길 바랍니다.)
따라서
설계상
저렇게 굽혀야하는데(벤딩해야하는데)
균열이 생긴다?
균열이 생기는 부분을 없애면 됩니다.
그게 노치 입니다.
노치는
"V나 U자로 흡집내거나 구멍내는 것" 입니다.
그래서
아래 그림 처럼
응력집중부, 찢어짐 생기는 부분을
노치로 만들어 줍니다.
2. 요약
요약하면
굽힘(벤딩 시)
응력집중 부가 생겨 찢어지는 부위가
생기는지
반드시 확인해야합니다.
저런 찢어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노치를 만들어주거나
여유부분을 만들어 굽힘(벤딩)하면 됩니다.
왜 심한 소성변형이 생기는지에
대해 모르면,
하중에 따른 재료의 성질을 모르는 것이니,
아래 내용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3. 재료의 기계적 성질(링크)
재료의 기계적 성질은
실무적으로나 재료역학에서 가장 기본적인 내용이기 때문에
반드시 알아둬야합니다.
관심있으시면 링크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앞으로도 엔지니어에게 좋은 지식과 정보를 이해하기 쉽게 글을 포스팅하겠습니다. (By. 요르문간드)
'설계지식-도면,가공 > 기계가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지니어가 반드시 알아야 할 금속의 기본 성질 (4) | 2023.05.15 |
---|---|
비파괴검사의 의미 (0) | 2023.05.12 |
엔지니어가 설계 시 공차 설정의 기준은 무엇인가? (0) | 2023.03.22 |
엔지니어가 가공현장을 파악해야하는 이유 (0) | 2023.02.20 |
재료 용어(Bar, Sheet, Plate) (0) | 2022.07.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