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재료에 대한
기본적인 용어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재료 형태 용어의 중요성
재료의 형태에 대한 용어는
제조업을 하는 회사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따라서, 재료 모양, 형태에 대한 용어를
정확히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
Sheet와 Plate를 혼동하는 사람이 많아
이번에 정확히 정의하려 하니
제조업 회사 다닌 사람들은 꼭 알아두길 바랍니다.
(이번 글 내용은 재질에 대한 설명이 아닙니다.)
2. 재료의 기본적인 용어 3가지 소개
재료에 대한 기본적인 용어는 3가지가 있습니다.
Bar , Sheet, Plate입니다.
아래 그림을 참고하면서
설명하겠습니다.
먼저 Bar
Bar는
원통형 재료 입니다.
원기둥 모양의 재료이고
보통
직경 x 길이 로
크기를 표현합니다.
그다음은 박판과 후판 입니다.
사각형 모양을 하고 있는
Sheet(박판)와 Plate(후판)는
직육면체형태의 재료를 말하며
두께가 6mm이하를
Sheet(박판)이라 부르며
6mm 두께가 초과하면 Plate(후판)이라 부릅니다.
즉 6mm 기준으로
위아래로 부르는 용어가 다릅니다.
이들에 대한 치수 규격은
가로 x 세로 x 두께(높이)로
크기를 표현합니다.
이상 재료의 형태에 대한 용어를 알아보았는데,
용어는 매우 쉽습니다.
다만
재료 구입 시
혹은
데이터로 표기할 때
inch (`,")나 mm인지 정확히 알아야 한다는 점을
주의하길 바랍니다.
다음에는 굽힘(벤딩)설계 시 노치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3. 굽힘(벤딩)설계 시 노치의 중요성
설계 부품 또는 제품이 벤딩의 경우
노치가 왜 중요한지 설명하였으니,
자세한 것은 링크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앞으로도 엔지니어에게 좋은 지식과 정보를 이해하기 쉽게 글을 올리겠습니다. (By. 요르문간드)
'설계지식-도면,가공 > 기계가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지니어가 반드시 알아야 할 금속의 기본 성질 (4) | 2023.05.15 |
---|---|
비파괴검사의 의미 (0) | 2023.05.12 |
엔지니어가 설계 시 공차 설정의 기준은 무엇인가? (0) | 2023.03.22 |
엔지니어가 가공현장을 파악해야하는 이유 (0) | 2023.02.20 |
굽힘(벤딩)설계 시 노치의 중요성 (0) | 2022.07.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