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보통
모터 또는 엔진과 관련된 축, 바퀴 축
또는 회전하는 구조물에 대해서 "비틀림"은
설계 및 해석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요소입니다.
이에 대해서 오늘 포스팅 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축 등 회전 구조물 설계 시 비틀림이 중요한 이유
2. 비틀림 기본개념 (1) - 비틀림 정의, 전단개념 (링크)
1. 축 등 회전 구조물 설계 시 비틀림이 중요한 이유
제가 이전에 선반기계에 대해 설명한 적 있습니다.
선반기계에 대해 핀 등 가공을 하면,
금속체가 회전을 하는데,
금속체가 너무 길면 아래 그림처럼
끝부분이 심하게 흔들려,
작업자의 안전의 위험이 생깁니다.

동시에 회전하는 금속체를 보면,
고정부분에 대해 멀수록,
입자가 단면(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변형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이 심하게 되면
스크류바 아이스크림 처럼 꼬이게 되어
파손을 일으키게 됩니다.
따라서, 축을 설계할 때,
비틀림을 고려할 수 밖에 없습니다.
다음에는 재료역학의 비틀림에 대한 기본개념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2. 비틀림 기본개념 (1) - 비틀림 정의, 전단개념 (링크)
반응형
비틀림에 대한 기본개념을 포스팅 하였으니,
관심있는 분은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앞으로도 엔지니어에게 좋은 지식과 정보를 이해하기 쉽게 글을 포스팅하겠습니다. (By. 요르문간드)
반응형
'설계지식-도면,가공 > 기계가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굽힘가공에서의 스프링백 현상(Spring back) (0) | 2023.05.23 |
---|---|
엔지니어가 반드시 알아야 할 금속의 기본 성질 (4) | 2023.05.15 |
비파괴검사의 의미 (0) | 2023.05.12 |
엔지니어가 설계 시 공차 설정의 기준은 무엇인가? (0) | 2023.03.22 |
엔지니어가 가공현장을 파악해야하는 이유 (0) | 2023.0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