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동역학 책에서 보면
운동학을 질점과 강체로 분류하여 소개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질점과 강체에 대한 정의"를
주제로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질점의 개념과 정의
질점은 그냥 질량이 있는 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근데 굳이 점으로 표현하는 이유가 무엇이냐면,
모든지 물체에는 중심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부피가 다양하고 복잡하기 때문에
한 점을 중심으로 간단하게 표현하고 싶기 때문에
이를 "질점"이라고 정의하는 것입니다.
2. 강체의 정의
어떤 이론을 정립할 때는 가장 이상적인 조건을 중심으로 합니다.
동역학에서 물체가 운동한다면 물체에서 내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물체의 변형이 존재합니다. 그러면 식이 복잡해집니다.
운동학이론을 정립할 때 가장 이상적인 조건은
물체의 변형이 없는 조건이 간단하기 때문에
외부의 힘을 받아도 크기와 모양이 변하지 않는 물체를
"강체"라고 합니다.
이 2가지로 동역학에서는 이 2가지로 운동학을 분류합니다.
질점은 세부적으로, 강체는 전체적으로 접근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음에는 동역학에서 사용하는 좌표계를 설명하겠습니다.
3. 동역학에서의 극좌표계 (링크)
반응형
동역학에서 사용하는 극좌표계는
각도와 거리로 표현하는 좌표는 맞지만
이에 대한 단위벡터를 반드시 이해해야 합니다.
자세한 것은 링크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앞으로도 엔지니어에게 좋은 지식과 정보를 이해하기 쉽게 포스팅하겠습니다. (By. 요르문간드)
반응형
'설계지식-동역학&진동&제어 > 동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역학 기본개념] 극좌표 각도 단위벡터 미분의 개념 (0) | 2023.06.28 |
---|---|
[동역학 기본개념] 극좌표 거리 단위벡터(e_r)의 미분의 개념 (0) | 2023.06.27 |
[동역학 기본개념] 극좌표의 단위벡터 의미 (0) | 2023.06.26 |
(동역학 기본) 속도, 가속도의 미분활용 (0) | 2023.06.22 |
등가속도 기본공식 (0) | 2023.05.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