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설계지식-도면,가공/2D도면

기하공차(2)-평행도 공차 개념 이해(1)

by Jormungand 2022. 4. 7.
반응형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평행도 공차 문제 소개

2. 평행도 공차의 정의

3. 평행도 공차 문제 적용 및 풀이

4. 평행도 공차(2) (링크)

5. 동심도(동축도) 공차 개념 이해 (링크)


 

 

1. 평행도 공차 문제 소개

이번에는 기하공차에서 "평행도 공차"를 볼 것입니다.

지난 페이지에서의 제품 사진을 불러오겠습니다.

본체 1번 도면

데이텀A-바닥

데이텀B-원형의 축심

원형이 이해가 안가면 3D상으로 보여주겠습니다.

(아래그림의 빨간색 원과 파란색은 해당 원형의 축심의 구간을 나타내며

앞면이든 뒷면이든 튀어나오거나 또는 들어간 원형상이 존재합니다.)

빨간색 영역은 커버끼우는 곳임.


 

 

2. 평행도 공차의 정의

 

먼저 평행도를 설명하겠습니다.

평행도 기하공차는 위와 같고 치수 60, 치수60은 저 원형의 지름을 가르킵니다.

즉, 원형의 지름에 기하공차를 놓는다는 것은 보통 원형의 축을 가르킨다는 것입니다.

(데이텀 B도 축심을 가르키며 중복됩니다.)

그리고 허용오차는 0.015이며 기준데이텀은 A입니다.

그런데 0.015앞에 "파이"가 붙어있습니다.

보통 원형의 축심을 정의 할 때는 앞에 파이를 가르킵니다.

그럼 0.015의 오차는 어디서 얻은 것일까요?

 

 

3. 평행도 공차 문제 적용 및 풀이

일반기계기사에서 주는 자료집(KS 규격집)이 있는데 거기에서 IT공차를 참고합니다.

시험에서는 보통 IT5 5급을 사용합니다. 

위의 그림 "본체 1의 도면"에서 파란색으로 나타낸 것이 축심이고 

축심의 길이85mm로 나타나있습니다.

바닥과 평행한것은 축심이고 그 축심의 길이가 85mm 입니다1!

즉, 해당 치수는 80초과 120이하에 속하며(단위는 마이크로미터, 길이는 mm)

위의 치수범위 만족하는 허용오차는 0.015mm 입니다.

결론은

본체의 축심은 2번,3번,4번 베어링 등 기타 부품과의 관계가 필요하므로 

기하학적 관계를 정의해주어야합니다.

따라서,

노란색으로 표기된 평행도 기하공차의 의미는

데이텀 A(본체 바닥)과 축심은 평행한데 

저 축심은 원통형 모양의 축심이라 허용오차에 "파이"가 붙으며

저 축심의 길이는 85이므로 허용오차는 0.015이라는 의미 입니다.

 

평행도 공차에 대해 더 공부를 하고 싶은 분을 위해아래 다른 문제예시를 준비하였습니다.

 

 

4. 평행도 공차(2) (링크)

반응형

 

평행도 공차에 대한 다른 예시를 들었으니,

평행도 공차에 대해 더 공부를 하고 싶다면

링크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추천★

 

5. 동심도(동축도) 공차 개념 이해 (링크)

 

기하공차(3)-동심도(동축도) 공차 개념 이해(1)

이번에는 동심도(동축도) 공차를 설명하겠다. 저 원이 두개 그려져 있는 것이 동심도(동축도) 공차의 기호이다. 의미는 "원형의 중심의 축과 다른 원형의 중심의 축이 일치해야하는데 가공상 오

archive-engineer-latias21.tistory.com

 

평행도 공차가 이해가 다 되었다면, 동심도(동축도) 공차에 대해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이를 위해 링크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앞으로도 엔지니어에게 좋은 지식과 정보를 이해하기 쉽게 글을 포스팅하겠습니다. (By. 요르문간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