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직각도 공차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다른 예를 통해서 설명하려고 합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2. 기하공차(1)-공차,기하공차정의, 데이텀(기준) 설정 (링크)
1. 직각도 공차 문제 소개

직각도 공차 3개 중에서 2개만 설명하겠습니다.
이 개념만 잘 알면 옆에거 직각도 공차가 왜 그런지 알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데이텀 A는 바닥에 있습니다.
(데이텀 기준 잡는법은 다시 설명안하겠다. 모르면 아래 링크 참고하길 바랍니다.)
2. 기하공차(1)-공차,기하공차정의, 데이텀(기준) 설정(링크)
기하공차(1)-공차,기하공차정의, 데이텀(기준) 설정
이번 글은 일반기계기사 수험자들을 위한 2D도면 작업에 대해서 설명하려고 한다. 독학 하는 사람들은 공차에 대해서 공부하기 정말힘들거다. 나는 일반기계기사 시험 칠 때 필기책1권, 실기책 2
archive-engineer-latias21.tistory.com
3. 직각도 공차 문제 풀이

직각도 0.015 데이텀A에 대한 치수는 빨간색 영역면을 가르킵니다.
이 영역은 가이드부시가 조립되기 때문에 기하공차를 정의해주어야 합니다.
이 빨간색의 영역의 면에서 데이텀A까지의 길이는 (44/2) + 60 = 82입니다.
IT공차표에 따르면

80~120사이에 있기 때문에
0.015를 정의해주어야 합니다.
다행히 바닥에 수직인 면 혹은 선이 원통의 중심, 축심을 가르키지 않기때문에
앞에 파이를 안붙힙니다.

이번에는 직각도공차 파이 0.013 데이텀 B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데이텀 B는 오른쪽 도면에서의 축심을 나타냅니다.
저 축심에 관해서 축, 베어링커버 등 조립에 관련 있기때문에,
가이드부시로인해 조립되는 축심과 기하하적으로 조립간의 관계를 정의해주어야 합니다.(기하공차)
상황을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3D로 보는게 더 이해가 빠를 것 입니다.

데이텀 B를 기준으로 빨간화살표 간 거리기준이 직각도 기하공차 값이다.
저 빨간색 거리값은 55이므로
기하공차값은 0.013이다.
그리고 저 빨간색 거리는 원형축심의 거리를 나타내므로
기하공차값 앞에 파이를 붙여주어야 합니다.
그래서 직각도공차 데이텀 B에 파이 0.013이 나오는 것 입니다.
여태까지 직각도 공차 정의하는 것을 보았으면
오른쪽 직각도 공차에 대해서도 이해가 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음에는 "원통도 기하공차 개념"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자세한 것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4. 기하공차 - 원통도 공차 개념 이해 (링크)
기하공차 원통도 공차에 대한 설명입니다.
원통도 개념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였으니,
위 링크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앞의 내용이 이해가 되지 않았다면
직각도 공차의 개념에 다시 공부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아래 링크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5. 기하공차 - 직각도 공차 개념 (링크)
기하공차(4)-직각도 공차 개념 이해(1)
이번에는 직각도 공차의 개념을 설명하겠다. 직각도 공차 기호는 말그대로 수학기호에서 수직기호와 같다. 다른 부품과의 조립 등 관계의 해당되는 어떤 선 또는 면이 해당 데이텀과 기준으로
archive-engineer-latias21.tistory.com
직각도 공차에 대한 자세한 개념 이해는 위 링크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앞으로도 엔지니어에게 좋은 지식과 정보를 이해하기 쉽게 글을 포스팅하겠습니다.(By.요르문간드)
'설계지식-도면,가공 > 2D도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하공차(2)-평행도 공차 개념 이해(2) (0) | 2022.04.26 |
---|---|
기하공차(5)-원통도 공차 개념 이해 (0) | 2022.04.25 |
기하공차(4)-직각도 공차 개념 이해(1) (0) | 2022.04.09 |
기하공차(3)-동심도(동축도) 공차 개념 이해(1) (0) | 2022.04.08 |
기하공차(2)-평행도 공차 개념 이해(1) (0) | 2022.04.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