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설계지식-도면,가공/2D도면

기하공차(3)-동심도(동축도) 공차 개념 이해(1)

by Jormungand 2022. 4. 8.
반응형

이번에는 "동심도(동축도) 공차" 를 설명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동심도(동축도) 공차의 의미

2. 동심도(동축도) 공차 문제 소개

3. 동심도(동축도) 공차 문제 풀이

4. 기하공차 동심도(동축도) 공차(2) (링크)

5. 기하공차 직각도 공차(1) (링크)


 

1. 동심도(동축도) 공차의 의미

저 원이 두개 그려져 있는 것이 동심도(동축도) 공차의 기호입니다.

의미는

"원형의 중심의 축과 다른 원형의 중심의 축이 일치해야하는데

가공상 오차가 생기기 때문에, 그 축의 관계가 얼마나 벗어났는가의 

허용오차를 설정해주는 기하공차" 입니다.

 

 

2. 동심도(동축도) 공차 문제 소개

본체 도면, 좌우는 커버끼우는 곳
본체 3D 모델링, 빨간색 부분은 커버 조립하는 곳

위 그림(본체도면)을 보면 파란색 축심은

"본체 3D 모델링"그림의 빨간색 원 표시의 축심입니다.

기어, 축, 베어링도 원형입니다.

그들의 축도 본체의 저 축심과 일치해야 합니다.

하지만 오차가 생기기 때문에 동심도 오차로 허용오차를 표기해줍니다.

축심의 기준은 데이텀 B 입니다.

(앞 페이지 기하공차 개념,기하공차(1)에서 설명했습니다.)

저 축심의 길이에 따라 오차가 커지냐 작아지냐 달라지기 때문에

동심도의 허용오차는

축심의 길이를 기준으로 설정합니다.

 

 

3. 동심도(동축도) 공차 문제 풀이

축심의 길이는 85mm이므로

IT공차 표를 참고하면

80~120사이에 속하기 때문에 오차값은 15마이크로 미터(0.015mm) 입니다. 

또한 원형의 축심을 정의하기 때문에 "파이"가 붙습니다.

본체 도면

검은색 원으로 표시된 

동심도(동축도)기하공차의 의미

본체의 축심과 베어링, 축의 중심선이 

원형의 축심(데이텀 B)를 기준으로 일치해야 하지만(동축!)

가공상 오차가 생기기 때문에

기하하적 오차를 0.015mm까지 허용해준다는 의미입니다.


 

 

4. 기하공차 동심도(동축도) 공차(2)(링크)

반응형

 

추가로 동심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면 다른 문제 예시를 위 링크에 올렸으니

링크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5. 기하공차 직각도 공차(1) (링크)

 

기하공차(4)-직각도 공차 개념 이해(1)

이번에는 직각도 공차의 개념을 설명하겠다. 직각도 공차 기호는 말그대로 수학기호에서 수직기호와 같다. 다른 부품과의 조립 등 관계의 해당되는 어떤 선 또는 면이 해당 데이텀과 기준으로

archive-engineer-latias21.tistory.com

 

다음에는 저 같은 도면을 기준으로

기하공차 직각도 공차(1)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겠습니다.

 

 


앞으로도 엔지니어에게 좋은 지식과 정보를 이해하기 쉽게 글을 포스팅하겠습니다. (By. 요르문간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