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티아(모델링)/기타

[CATIA]체인 모델링,DMU

by Jormungand 2022. 4. 20.
반응형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체인 모델링 방법

2. 체인 모델링의 주의할 점

3. 스프로킷 모델링과 작도법(링크)


1. 체인 모델링 방법

이번에는 체인 모델링 한 것을 보여주겠습니다.

체인 모델링과 구동하는 방법은 유튜브에 "Chain Kinematics"검색하면 나옵니다.

외부링크(노랑)와 내부링크(주황과 회색)을 만들고 복사하여 각각 조립하지만,

어셈블리는 카티아 Kinematics에서 해도 상관없습니다.

joint로 연결하면 동시에 조립이 됩니다.

체인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가이드라인이 2개 필요합니다.

첫번째는, 체인의 중심 선(자주색)

두번째는 내부링크(회색)의 접하는 선(검은색)입니다.

체인의 중심선에서 내부링크 반지름 길이만큼 offset해서 만든 가이드 라인입니다.

 

 

2. 체인 모델링의 주의할 점

주의할 점은 체인을 모델링 하기 전에

첫번째 가이드라인은 모델링 전,

반드시계산이 되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체인 일부 링크가 1mm길다거나 짧게 되어

실제 체인을 제작할 때는, 스프로킷휠에 적용안됩니다..

즉, 쓸모없는 설계와 제작이 되버리기 때문에 주의해야합니다.

revolute joint
chain kinematics trees

체인 저렇게 조립하고 구동시키는 작업은

어렵지 않지만, 반복작업이 많고 오래걸린다는 점입니다.

1시간정도는 joint작업만 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DMU안하고 어셈블리 해도 반복작업은 같고 시간도 저정도 걸립니다.

결국 해냈습니다.

 

다음 포스팅은

체인과 같이 짝을 이루며, 체인을 움직이게 하는 기계장치

"스포로킷 모델링과 작도법"을 포스팅하겠습니다.

스프로킷은 기계기사 실기시험 준비할 때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내용이니

아래링크를 반드시 참고하기 바랍니다.

 

 

3. 스프로킷 모델링과 작도법(링크)

반응형

체인을 움직이게 하는 스프로킷 모델링과 작도법을

링크에 소개하겠으니 참고하길 바랍니다.


앞으로도 엔지니어에게 좋은 지식과 정보를 이해하기 쉽게 글을 포스팅하겠습니다. (By. 요르문간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