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설계지식-열&유체&엔진42

열역학 제1법칙에 대한 개념과 이해 이번에는 "열역학의 제 1법칙"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는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열역학 제1법칙 2. U : 내부에너지 3. Q : 열량(열에너지) 4. 열량과 비열에 대한 개념 (링크) 1. 열역학 제1법칙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Q : 열량, U : 내부에너지, W : 일 모든 단위는 J(줄)로 통일됩니다. 내부에너지의 변화량과 일의 결과에 따라 열량을 정의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그래서, 외부에너지 공급이 없어도 계속일을 할 수 있다는 내용(제 1종영구기관)을 제작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내부에너지와 일, 열에 대한 부호에 대한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그래서, 내용을 끝까지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2. U : 내부에너지 내부에너지는 말 그대로 기체가.. 2023. 2. 17.
[유체역학 기본개념-5] 적분해석, 미분해석 이번 포스팅은 "적분해석, 미분해석"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적분해석 2. 미분해석 3. 결론 유체역학을 공부할 때 보면, 전체적으로(거시적으로) 분석하거나 유체입자 하나로 분석하는 미시적으로 분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1. 적분해석 유체현상을 전체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적분해석" 이라고 합니다. 아래 그림으로 예로 들겠습니다. 에어포일에 유체가 흐릅니다. 에어포일 윗면을 검사체적으로 하여 질량유동을 구하려고 하면 검사체적을 두고 분석(계산)을 합니다. 에어포일 윗면이라는 검사체적을 두어 전체적인 현상을 계산하려면 적분해석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입자 하나하나를 모아서 보는 것이 적분 개념이니까요. 2. 미분해석 미분해석은 유동장 내 유동입자 한점에 대한 상세한 지.. 2023. 2. 6.
[유체역학 기본개념-4] 차원과 단위 이해(1) 이번에는 단위의 기본, 근본이 되는 차원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이 내용은 유체역학 뿐만이 아닌 모든 기계 전공에 관련되기 때문에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차원의 정의 2. 차원의 예시 (단위) 3. 열역학 이상기체 방정식 (링크) 1. 차원의 정의 먼저, 차원이란? 길이, 시간, 질량, 온도와 같은 물리적인 양을 말합니다. 단위에서 차원을 쓰면 길이(L), 시간(t), 질량(M), 온도(T)로 사용합니다. 이게 왜 중요할까요? 어떠한 공식에서 상수나 항에 대해 단위가 어떻게 되는지 알 수 있습니다. 2. 차원의 예시 (단위) 예로들면 이상기체방정식에서 기체상수의 단위가 궁금하다면? 압력 x 부피 = 질량 x 기체상수 x 온도 입니다. 부피 = 길이의 3제곱, L^.. 2022. 7. 6.
[유체역학 기본개념-3] 유선,유적선,유맥선,시간선 이번에는 유체역학에서 유선들에 관한 용어들의 정의를 간단히 설명하겠습니다. 여기에는 유선, 유적선 유맥선, 시간선이 있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유선, 유적선, 유맥선, 시간선의 정의 2. 유체역학의 차원과 단위의 이해(링크) 1. 유선, 유적선, 유맥선, 시간선의 정의 유선 : 주어진 순간 유동방향의 접선되도록 그려진 선(검은색) 시간선 : 유동장 내 입자들을 어느 순간에 표시할 때 긴 유체내에서 하나의 선 형성 ("어느 순간"이기 때문에 시간이 같아야함)(초록색) 유적선 : 운동하는 입자를 그리는 궤적(남색) 유맥선 : 특정한 지점을 지나간 수많은 입자들을 연결한 선 또는 순간궤적(빨간색영역 내의 선) 보통 정의를 설명할 때, 글로만 표현한 경우가 대다수인데, 이러면 이해가 안됩.. 2022. 7. 5.
[항공역학] 받음각과 실속 이번에는 항공기의 양력에 대한 기본 각도, "받음각"과 "실속"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받음각 2. 0양력 받음각 3. 실속 4. 마하수에 따른 속도영역 (링크) 1. 받음각 날개의 시위선(검은선)과 공기 이동방향(빨간선 과 좌측의 화살표)사이의 각을 받음각이라고 합니다.(Angle of Attack) 2. 0양력 받음각 양력이 0일 때 0양력이라 하며 "0양력 받음각" 이라 하는 것은(아래 그래프 참조) 양력계수가 0일 때의 받음각이므로 이 때의 받음각이 약 -5.3도입니다. 0양력 이상의 받음각 일때는 항공기는 양력을 받습니다! (양력계수가 양 + 이므로), (양력계수가 음 -이면 양력이 -이므로, 항공기가 가라앉습니다.) 받음각이 0도 일때여도 양력계수가 존.. 2022. 6.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