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설계지식-재료&구조/재료역학(기본)

관성모멘트 평행축 정리

by Jormungand 2022. 9. 29.
반응형

이번에는

관성모멘트 평행축 정리에 대한 것을

포스팅 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관성모멘트 평행축 정리가 필요한 이유 (링크)

2. 관성모멘트 평행축 정리

3. 관성모멘트 평행축 정리 공식과 증명

4. 극관성모멘트 개념 (링크)

5. 평면면적과 도심 기본과 이해 (링크)


관성모멘트의 평행축 정리가 필요한 이유는

저번 포스팅에 설명하였습니다.


1. 관성모멘트 평행축 정리가 필요한 이유 (링크)

 

관성모멘트 합성과 분리 개념

저번 포스팅에서 관성모멘트의 개념과 공식을 이해하였습니다. 더 나아가서 이번에는 관성모멘트의 합성과 분리에 대한 개념을 소개하겠습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도 알려드리겠습니다. 관성모

archive-engineer-latias21.tistory.com

 

 

관성모멘트 평행축 정리의 필요성에 대한

이유만 궁금하시다면

관성모멘트 합성과 분리의

주의할점부터 보시면

됩니다.


 

2. 관성모멘트 평행축 정리 

관성모멘트의 평행축 정리는

위 그림처럼

회전축에서 거리가 떨어진 면적에 대한

관성모멘트를

계산할 때 사용하는 것입니다.

한마디로 표현하면

기본도형 관성모멘트에서 평행이동한 한 값을

계산하시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3. 관성모멘트 평행축 정리 공식과 증명

회전축x에서 거리 d1만큼 떨어진

관성모멘트를 구하려면

도심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도심에 대한 것을 알고 싶다면

맨 아래 도심링크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해당 면적의 도심에 대해서도 

x,y축을 놓고 계산하겠습니다.

회전축에서 떨어진 관성모멘트를 기준으로

계산한다면 아래와 같습니다.

1번항목의

도심 C를 원점으로 하는 X축에 대한 관성모멘트는

우리가 알고있는 기본도형의 공식을 대입하면 됩니다.

 

위 계산을 간단히 하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평행축 정리 적용한 x축 관성모멘트

y축도 같은방식으로 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평행축 정리 적용한 y축 관성모멘트

위 공식과 내용을 확실히 알면

관성모멘트의 절반을 이해하셨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음에는 

극관성모멘트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겠습니다.

 

4. 극관성모멘트 개념 (링크)

 

반응형

 

 

비틀림공식에서

주로 많이 나오는 것이

극관성모멘트입니다.

"극관성모멘트의 개념과 이해"에 대한

자세한 것은

위의 링크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5. 평면면적과 도심 기본과 이해 (링크)

 

평면면적과 도심(1)-기본과 이해

이번에는 "도심"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소제목 내부링크 1. 면적의 정의(적분) 2. 도심과 1차모멘트의 정의 3. 평면면적과 도심(2) - 도형의 합성과 분리 공식 (링크) 1. 면적의

archive-engineer-latias21.tistory.com

 


앞으로도 엔지니어에게 좋은 지식과 정보를 이해하기 쉽게 글을 포스팅하겠습니다. (By. 요르문간드)

반응형

댓글